r44
r1

(새 문서)
1[include(틀:상위 문서,up=레벨 에디터)]
2[[분류:A Dance of Fire and Ice]]
3[include(틀:A Dance of Fire and Ice)]
4[clearfix]
5[목차]
6== 개요 ==
7불과 얼음의 춤 커스텀 레벨 에디터의 팁을 적는 문서이다.
8== 적는 방식 ==
9 * 아래 '목록' 문단의 하위 문단을 만들어 팁을 적습니다.
10 * 존댓말을 사용합니다.
11== 목록 ==
r35
12=== 곡 선정 ===
r44
13커스텀 레벨을 제작할 때는 반드시 허가된 아티스트의 음악만 사용해야 합니다. 아티스트의 허가 여부는 [[https://7thbe.at/verified-artists/adofai|작곡가 허가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r1

(새 문서)
14
r44
15아티스트에 따라 허용 범위나 조건이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증거 항목을 클릭해 허가 전문을 꼭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허가된 곡이라도 다른 리듬게임에 수록된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곡 설명에 "from OOO"과 같이 다른 게임 출처가 명시되어 있다면, 해당 게임에서 사용된 곡이 커스텀 레벨 제작에 허용되는지 별도로 확인해야 합니다.
r3
16
r44
17기존 커스텀 레벨에 사용된 곡, 혹은 같은 작곡가의 다른 곡이라 하더라도 허가 조건이 특정 곡에만 해당되거나 변경되어 사용할 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예시 Kyutatsuki의 [[Gravitational Revert]], Synthion의 [[Light Years Away]] 등은 작곡가의 허가 조건이 변경되어 이전에는 제작이 가능했지만 현재는 불가능합니다.]
r3
18
r44
19허가 목록에 없는 작곡가에게 허가를 요청하려면, 작곡가 이름을 검색한 뒤 '작곡가에게 허가 요청'을 클릭하고 정해진 템플릿을 사용해 연락할 수 있습니다.
20
21음원은 [[https://soundcloud.com|사운드클라우드(SoundCloud)]]에 다운로드 링크가 포함되어 있거나, Bandcamp 등의 구매/다운로드 링크가 걸려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제공된 음원이 없다면 YoutubeStream 모드를 사용하거나 작곡가에게 직접 연락할 수 있습니다. y2mate 같은 음원 추출 사이트는 대부분 사용이 금지됩니다.
22
23또한, 이미 얼불춤에 사용된 곡을 참고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 경우 [[코스모피디아]]의 [[:분류:곡|곡 문서]]를 살펴보며 원하는 곡을 찾을 수 있습니다.[* 코스모피디아의 곡 문서에는 곡의 BPM 및 길이, 가격 등 필요한 정보가 서술되어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앞서 언급했듯이 허가 조건이 변경되었을 수 있으므로 저작권 확인은 꼭 필요하며, 곡 파일은 기존 레벨 파일에서 추출하는 것이 아니라 SoundCloud, Bandcamp, 작곡가 연락 등 정식 경로를 통해 확보해야 합니다.
r24
24=== 레벨 싱크를 맞추는 방법 ===
r38
25다음은 곡과 트랙의 싱크를 맞추는 방법입니다.
r39
26리듬 게임에서는 싱크가 맞지 않으면 플레이 경험이 크게 저하되므로, 정확한 싱크 조정은 곡 선정 다음으로 가장 기본적인 과정입니다.
r24
27==== BPM ====
r3
28곡의 BPM을 맞추는 것은 싱크 맞추기의 기본입니다.
29
30다음은 BPM을 맞추는 방법입니다.
31 * '''곡 설명 확인'''[br]작곡가가 영상 설명이나 설명란에 BPM을 기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사운드클라우드의 태그에 BPM이 포함될 수도 있으며, BMS 곡이라면 게임 플레이 화면에서, osu!의 오리지널 곡이라면 비트맵 사이트에서 BPM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26
32 * '''다른 레벨에서 가져오기'''[br]해당 곡으로 제작된 다른 레벨을 참고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레벨의 BPM이 틀릴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신뢰할 수 있는 제작자의 레벨을 참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r33
33 * '''직접 맞추기'''[br] 오프셋을 설정한 후, 180° 타일을 길게 배치한 뒤 BPM을 조절하며 싱크가 어긋나지 않는지 확인합니다. BPM이 소수점 두 자리까지 애매한 경우 완벽하게 맞추기는 어렵지만, 가장 기본적이고 빠른 방법입니다.
r40
34 * '''클릭 속도로 BPM 찾기''' [br][[https://www.beatsperminuteonline.com/|링크]]같은 클릭 속도로 BPM을 측정할 수 있는 사이트를 활용합니다. 음악을 재생하면서 박자에 맞춰 클릭하면 BPM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33
35==== 오프셋 ====
36BPM을 제대로 찾는다 해도 오프셋을 제대로 맞추지 못할 시 싱크가 맞지 않아 플레이하기 불편해지거나 비공식 포럼에서의 검열 사유가 될 수 있습니다.
r3
37
r21
38아래는 오프셋을 맞추는 여러 방법입니다.
r3
39
40 * '''직접 맞추기'''[br]가장 간단하고 정석이며 동시에 가장 시간이 많이 드는 방법, 즉 '''순수 노가다'''입니다. 레벨의 피치를 낮추고 곡의 첫 박자와 첫 타일이 입력되는 타이밍이 맞을 때까지 오프셋 값을 조정해가며 찾는 방법입니다. 곡이 더 빠르다면 오프셋 값을 줄이고 첫 타일이 더 빠르다면 오프셋을 늘리면 됩니다. 다만 기준으로 삼은 소리가 어택이 명확하지 않거나 밀려있을 가능성이 있는 현악기나 보컬 등등일 경우 확실한 어택을 가진 소리가 있는 박자까지 타일을 설치한 후 맞추는 것을 권장합니다.
41
r22
42 * '''Audacity 프로그램 사용'''[br]시간이 적게 들며 정확도도 높은 방법입니다. Audacity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얼불춤에서 불러올 곡 파일을 불러온 후 음파 모양을 보고 레벨이 시작될 부분을 클릭하고 확대하여 키보드 ←, → 키를 사용해 세부 조절을 하여 맞춘 후 오른쪽 밑에 뜨는 숫자를 기호 없이 입력하면 됩니다. 노래가 시작되는 부분에서 레벨이 시작되는 경우 직접 맞추지 않아도 정확한 오프셋을 맞출 수 있다는 매우 큰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노래의 전주 부분 때문에 음파가 구분이 잘 안 되거나 가끔 정확하게 맞지 않는 문제점이 있는데요, 이땐 Audacity에서 대충 맞추고 게임에서 직접 맞추는 방법으로 정확히 맞추시면 Audacity로 대충 근사값을 잡아놨으므로 무작정 노가다를 뛰는 것보다는 시간이 적게 걸립니다.
r25
43
r37
44 * '''시작 타일 수 세기'''[br]시작하기 전에 정확히 몇 박자를 쉬는 곡의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BPM을 설정한 후 곡이 시작하기 전에 쉬는 타일 수를 셉니다. '''60000 ÷ BPM × 타일 수'''[* 180°가 아닌 각도의 타일일 경우 타일 수를 '''타일 각도 ÷ 180 × 해당 각도의 타일 수'''로 계산합니다. 예시) 60° 타일 2개, 75° 타일 1개, 180° 타일 3개 => 60÷180×2 + 75÷180×1 + 3 = 4.08333(•••)타일] 공식을 사용해 오프셋을 계산합니다. 익숙해지면 가장 빠르고 쉽지만, 곡이 밀려 있을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합니다.
r3
45
r28
46 * '''다른 레벨에서 가져오기'''[br]같은 곡을 사용한 레벨에서 오프셋 값을 가져오는 것입니다. 물론 귀찮지 않다는 점이 장점이 될 수 있으나 가져올 레벨의 오프셋이 어긋나있는 상태이거나 오프셋 차이가 있는 다른 노래 파일을 사용했을 경우[* 원본 노래 파일이 mp3 파일인 경우 얼불춤으로 불러오면 자동으로 ogg 파일로 변환하는데, 이 과정에서 오프셋이 틀어질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환경에 따라 오프셋이 다를 수 있습니다.]에는 싱크가 맞지 않다는 명확한 단점이 존재합니다. 또한 레벨 제작자가 본인의 레벨에서 오프셋을 가져가지 말라는 문구가 있는지 잘 확인해야 합니다.
r25
47
r6
48 * '''노래 파일 자르기'''[br]노래 파일을 잘라내어 재생과 동시에, 즉 오프셋을 0으로 설정하여도 바로 원하는 부분이 재생되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이 역시 곡의 전주 부분이 있다면 잘려나가 음악성이 사라지고 정확히 잘리지 않으면 싱크가 틀어지는 문제가 있습니다. 또한 허가 조건에 곡 수정을 금지한 작곡가들이 있는데, 이 경우 이 방법을 썼을 때 '''저작권 위반 처리가 되어 레벨이 내려갈 수 있으니'''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r3
49=== 모드 및 프로그램 ===
r6
50에디팅에 도움을 주는 모드와 프로그램입니다.
r7
51==== UndyingMap ====
52설정한 시간을 간격으로 맵을 자동으로 백업합니다.
53
54|| 모드 이름 || UndyingMap ||
r8
55|| 제작자 || Kkitut ||
r9
56|| 출시일 || 2024.05.19 ||
r7
57[[https://bot.adofai.gg/api/mods/UndyingMap?download=true|다운로드]]
58==== TulttakMod ====
59에디팅에 유용한 여러 기능을 추가합니다.
60
r8
61* [나 ]키로 반대편 페이지로 가기 방지
62* 여러 타일 선택시 비트수 표시(from AdofaiUtils) [* 예시 :[br][[파일:틀딱 비트 수 표시.png]]]
r7
63* 선택한 타일 각도 보기(from EditorHelper) [* 예시 :[br][[파일:틀딱 각도 표시.png]]]
r13
64* 이전 타일 자동 소용돌이 설치
65|| 모드 이름 || TulttakMod ||
r7
66|| 제작자 || [[정현수]] ||
r10
67|| 출시일 || 2022.04.18 ||
r11
68[[https://bot.adofai.gg/api/mods/TulttakMod?download=true|다운로드]]
r7
69==== MagicShapeMultiply ====
70모양을 변형시키거나, 마법진을 만드는데 유용합니다.
71
r8
72작동시키려면 EditorTabLib도 다운받아야 합니다.
73
r19
74* 마법진 승수 맞추기
r17
75* 모양 바꾸기
r7
76* 마법진 만들기
77|| 모드 이름 || MagicShapeMultiply ||
78|| 제작자 || 서재형 ||
r8
79|| 출시일 || 2024.03.19 ||
r7
80[[https://bot.adofai.gg/api/mods/MagicShapeMultiply?download=true|다운로드]]
81==== EnhancedEffectRemover ====
82레벨 로드시 선택된 이벤트를 제외하고 로드합니다. 레벨 저장은 막히지만 다른 이름으로 레벨 저장은 가능하므로 논이펙 파일을 만드는 것을 까먹었을 때 즉석으로 만들거나 특정 이벤트를 전부 갈아엎을 때 유용합니다.
83
r29
84|| 모드 이름 || EnhancedEffectRemover ||
r8
85|| 제작자 || wsbimango ||
86|| 출시일 || 2024.02.04 ||
r7
87[[https://bot.adofai.gg/api/mods/EnhancedEffectRemover?download=true|다운로드]]
88==== FlipAndRotateTiles ====
89타일 회전에 관련된 기능을 추가합니다.
90
r8
91* 타일 반전 및 회전 시 길 이동 이벤트의 좌표 수정
92* 타일 회전 각도 조절
93|| 모드 이름 || FlipAndRotateTiles ||
94|| 제작자 || 서재형 ||
95|| 출시일 || 2024.05.08 ||
r7
96[[https://bot.adofai.gg/api/mods/FlipAndRotateTiles?download=true|다운로드]]
97==== DoEverything ====
98여러 제한을 제거합니다.
99
r8
100* Cywohoy의 Unlimited를 계승한 모드입니다.
101* 역시나 에디터의 제한을 제거합니다.
102* 첫번째 타일에 사용이 불가능한 이벤트를 넣을 수 있습니다.
103* 대부분 값들의 제한이 사라지며, Ctrl 키+마우스 휠로 조정할 수 있는 배속 조절의 제한도 사라집니다
104* 설정메뉴 볼륨 조절의 초과증폭이 가능합니다. (수치가 높을 시 파형 왜곡으로 인해 깨지는 소리가 남)
r30
105|| 모드 이름 || DoEverything ||
r23
106|| 제작자 || Kkitut ||
r8
107|| 출시일 || 2024.05.27 ||
r7
108[[https://bot.adofai.gg/api/mods/DoEverything?download=true|다운로드]]
109==== GenerateDecoTiles ====
110깨진 타일을 생성하는 기능을 추가합니다. 이를 사용하여 대기 효과를 만듭니다.
111
r8
112|| 모드 이름 || GenerateDecoTiles ||
113|| 제작자 || coyami-ke ||
114|| 출시일 || 2024.09.22 ||
r7
115[[https://bot.adofai.gg/api/mods/GenerateDecoTiles?download=true|다운로드]]
116
117==== ADOFAI Dynamic Decoration Creator ====
r15
118움직이는 장식을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119
120|| 프로그램 이름 || ADOFAI Dynamic Decoration Creator ||
121|| 제작자 || [[CLiF]] (클리프) ||
122|| 출시일 || 2023.06.07 ||
r43
123[[https://github.com/CLiF-1593/ADOFAI_DynamicDecoration/releases|[[파일:GitHub.svg|theme=light]][[파일:GitHubDark.svg|theme=dark]]다운로드]]
r15
124==== ADODesigner ====
125많은 수의 개체와 이벤트로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 있습니다.
126
127|| 프로그램 이름 || ADODesigner ||
128|| 제작자 || coyami-ke ||
129|| 출시일 || 2024.10.02 ||
r43
130[[https://github.com/coyami-ke/ADODesigner/releases/tag/1.3.0|[[파일:GitHub.svg|theme=light]][[파일:GitHubDark.svg|theme=dark]]다운로드]]
r15
131==== Typography Generator ====
132텍스트를 입력하면 문자별로 이미지를 별도로 생성합니다. 타이포그래피 이펙트를 제작할때 유용합니다. [[https://youtu.be/fZl_yudAWtI|[[파일:Youtube.png|width=25]]소개]]
133
r31
134|| 프로그램 이름 || Typography Generator ||
r15
135|| 제작자 || [[테오]] ||
136|| 출시일 || 2024.09.10 ||
r43
137[[https://github.com/TeoooKR/typography-generator/releases|[[파일:GitHub.svg|theme=light]][[파일:GitHubDark.svg|theme=dark]]다운로드]]
r15
138==== MultipleChartTool ====
139트랙을 그대로 오브젝트 장식화하여 복사합니다. 연출 제작에 용이합니다. [[https://youtu.be/f70JiBsm2KM|[[파일:Youtube.png|width=25]]소개]]
r31
140
r34
141|| 프로그램 이름 || MultipleChartTool ||
r31
142|| 제작자 || [[Sprout]] ||
143|| 출시일 || 2024.12.05 ||
144[[https://drive.google.com/file/d/1kCnoZxdJEbipblzUx-iOXpE5sZJl5XUT/view?usp=drive_link|구글 드라이브 다운로드]]
145== 관련 문서 ==
146 * [[커스텀 레벨]]
r7
147 * [[레벨 에디터]]